사회&시사

양비론이란? 양비론 뜻과 사례, 장점과 문제점 정리

한줄요약러 2025. 2. 15. 01:34

양비론이란 무슨뜻인지 아시나요?

 

양비론용어는 언론이나 인터넷 기사 댓글에서 보기 쉬운 단어입니다.

정치나 사회 이슈뿐 아니라, 일상 속에서도 흔히 접할 수 있습니다.

 

이번 포스팅에서는 양비론의 뜻과 사례, 장단점까지 알아보겠습니다.

 


 

 

1. 양비론이란 무엇인가? 양비론 뜻과 개념

 

양비론(兩非論)의 한자 뜻을 풀어서 해석하면 (두 양), (아닐 비) (논의할 논)입니다.

둘 다 아니다, 잘못됐다는 뜻을 갖고있습니다.

 

 

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, 양비론은 맞서서 내세우는 두 말이 모두 틀렸다는 주장이나 이론.”입니다.

 

, 양쪽 모두 잘못됐다고 주장하는 논리입니다.

 

 

예를들어, “욕한 사람도 잘못인데, 그렇다고 때릴 필요는 없잖아? 때린 사람도 잘못이야.”처럼 둘다 잘못됐고 틀렸다는 논리를 양비론이라고 합니다.

 

 

 

2. 양비론의 실제 사례

 

  • 정치분야에서의 양비론 : 선거 기간 중 유권자들이 “정당 A나 B나 모두 부패했다”라고 하며 투표 포기를 선택합니다.
  • 국제 사회에서의 양비론 : A국과 B국이 갈등을 겪을 때, “둘 다 문제 있다”고만 말하고 적극적인 해결책을 제시하지 않는 경우입니다.
  • 역사에서의 양비론 : ‘일본의 역사 왜곡 vs 한국의 반일 감정‘처럼 역사 논쟁에서 “양쪽 다 잘못됐다”는 주장으로 역사적 책임을 모호하게 만듭니다.

 

3. 양비론의 장단점, 왜 논란이 되는가?

 

우선, 양비론의 장점으로는, 극단적으로 한쪽으로 치우치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.

잘 활용하면 균형 잡힌 관점을 키울 수 있습니다.

 

하지만, 책임 회피와 논리적 오류로 이어질 가능성도 분명히 존재합니다.

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당장 닥친 상황을 회피하는 방식으로, 근본적으로 중요한 것을 놓칠 수 있습니다.

둘 다 잘못됐다는 논리로 인해 어느 한 쪽이 더 잘못해도 양쪽 다 똑같이 비판하려는 태도를 초래합니다.

분명 모든 주장이 동일한 가치가 아님에도, 그런 것처럼 만들어버립니다. 이는 오히려 판단의 정확성을 흐립니다.

이런 특성 때문에 정치적으로 악용될 가능성도 높습니다.

 


 

 

지금까지 양비론의 뜻과 개념, 그리고 그 특성들이 어떻게 활용되는지 알아봤습니다.

양비론이 항상 나쁜것만은 아니라고 생각합니다.

하지만, 맹목적인 양비론으로 본질을 흐리고 문제 해결에 혼란을 줄 수 있습니다. 책임 회피의 가능성도 존재합니다.

 

단순한 중립보다는, 사건과 맥락을 고려한 판단이 필요합니다.

논리적 사고를 통한 균형 잡힌 사고의 중요성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.